학술활동

분권 시대 횡단적 보편학으로서 감성인문학: 장소‧매체‧서사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학술대회

파토스의 기호학 - 진도 씻김굿의 정념구조

작성 : abraxas701 / 2010-09-19 12:16 (수정일: 2018-01-19 10:35)

파토스의 기호학

-진도 씻김굿의 정념 구조

                                                            송효섭(서강대)

  

 

1. 뮈토스, 로고스 그리고 파토스

2. 정념의 기호학을 위한 이론적 설계

3. 진도 씻김굿의 정념 구조 분석

4. 남는 문제들

 

  1. 뮈토스, 로고스 그리고 파토스

 

감성의 영역을 과학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가능할까? 감성의 구조를 분석하고, 거기에서 변별성을 찾아 분류체계를 세우는 것이 가능할까? 인간의 심리의 여러 양상들을 분류하는 것은 심리학의 주된 과제이지만, 우리가 언제나 관심을 갖는 것은 감성 자체라기보다는 감성의 발현에 있다. 발현된 감성이야말로, 그것이 갖는 감성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성도 텍스트에서 직조되어 우리에게 전달되며, 그러한 매개적 작용을 밝혀내야만, 감성을 추상적 범주로 환원시키지 않고, 그 역동적 의미효과를 기술할 수 있다.

이 글은 포괄적인 감성의 개념보다는 파토스라는 개념을 통해, 그것이 갖는 기호학적 의미효과를 살피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글이 감성의 전체적 구조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신화적 기호작용 안에서의 감성의 작용을 다루는 것이며, 그러한 점에서 파토스는 뮈토스 및 로고스와의 기호학적 관계 망 안에 수용되어 신화적 기호작용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파토스가 작용하는 양상을 살피기 위해 진도 씻김굿의 텍스트를 분석할 것이다. 진도 씻김굿은 무속 제의의 하나로서, 거기에 서사, 인지, 행위의 세 층위가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으며, 분석을 통해 그러한 층위들 간에 일어나는 기호작용에서 파토스라는 새로운 감성의 층위가 덧붙여질 가능성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