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활동

분권 시대 횡단적 보편학으로서 감성인문학: 장소‧매체‧서사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학술대회

천정(天情)과 인도(人道)의 나뉨으로부터 합함

작성 : baluni / 2010-09-28 11:12 (수정일: 2018-01-19 11:15)

천정(天情)과 인도(人道)의 나뉨으로부터 합함

- 순자(荀子)의 성정(性情) 사상 및 그 효용에 대하여

 

추 자오후아(Chu, Zhaohua)

무한대학교

 

이전 시대와 동시대 사람들의 사상적 성과에 대한 총결로서 순자의 정() 개념은 다층적인 풍부한 함의를 지닌다. 이전의 여러 함의들은 모두 순자의 정() 개념 안에 축적되면 내재화됨으로써 다양한 층차의 함의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기초와 사고방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리고 순자 사상의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이 확연히 사맹(思孟) 학파와 같지 않게 만들기 때문에, 성정(性情) 및 인도(人道) 간의 관계에 관하여 그는 특유한 사상 노선을 형성함으로써 유가문화의 색다른 방향을 열었다.

. 자연천(自然天)의 기초 및 ‘하늘과 사람의 나뉨으로부터 합함(天人由分而合)의 사유방식

순자의 성정 사상은 천()에 대한 독특한 이해 및 그에 상응하는 천인지분 사상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것이자, 그에게 특유한 ‘나뉨으로부터 합함(由分而合)’이라는 사고방식의 결과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그의 천() 개념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순자의 성정 사상의 실질 및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 관건이다.

순자의 천()은 두 가지 측면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초월적이고 모든 것을 창조하여 만물의 생사 변화를 지배하는 형상(形上)의 천이고, 다른 하나는 형하(形下)의 천으로 자연 현상과 그 운동 변화의 법칙, 사람 자신의 형체 구조, 내재적인 잠재 능력, 본성적 욕구를 포함한다. 어느 측면의 의미든지 순자의 천은 다 인격적 의지와 도덕적 의의를 가지지 않는 하나의 전형적인 자연천이다. 천의 이런 초월성, 자연성, 객관적 필연성 그 자체가 천인지분의 뜻을 내포한다.